[SBC비즈니스정보] 한국 글로벌 500대 기업에 14개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에 36개국 진출(포천 선정)

 

 

한국기업 순위(2009년10개/2010년14개)

기업

2009년 기준

2010년 기준

삼성전자

32위

22위

현대자동차

78위

55위

SK홀딩스

104위

82위

포스코

272위

161위

LG전자

 

171위

현대중공업

375위

219위

GS홀딩스

300위

237위

한국전력

306위

270위

한화

358위

320위

삼성생명

316위

332위

LG디스플레이

 

439위

두산

 

488위

삼성C&T

 

491위

 

 

글로벌매출액순위

순위

기업

비고

1위

월마트

4천219억달러

2위

로열더치셸

글로벌 석유회사

3위

엑손모빌

글로벌 석유회사

4위

BP

글로벌 석유회사

5위

시노펙

글로벌 석유회사

 

 

글로벌이익순위

순위

기업

비고

1위

네슬레

328억달러

2위

가즈프롬

 

3위

엑손모빌

 

4위

공상은행

 

5위

로열더치셸

 

 

 

 

 

 

 

부문별 1위 기업

부문별

기업

비고

매출액

월마트

 

이익

네슬레

 

직원 수가 가장 많은 기업

월마트

210만명

매출성장률

페니메이

 

이익성장률

브릿지스톤

 

.

 

국가별 진출기업수

순위

국가

개수

1위

미국

133개사

2위

중국

69개사

3위

일본

68개사

4위

프랑스

35개사

5위

독일

34개사

6위

영국

30개사

7위

스위스

15개사

8위

대한민국

14개사

9위

네덜란드

12개사

10위

캐나다

11개사

11위

이탈리아

10개사

12위

호주

8개사

 

 

 

 

 

 

 

 

 

 

 

 

[SBC금융투자정보] 베이비부머 주택연금(역모기지론)으로 몰린다

베이비부머 주택연금(역모기지론)으로 몰린다

 

 

 

◇주택연금(역모기지론)이란 무엇인가?

 

 

모기지론은 집을 살 때 담보로 해당 주택을 제공하고 주택 구입자금을 빌려주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역모기지론은 모기지론과는 목적과 개념이 반대인데, 집을 가진 사람에게 이 집을 담보로 생활자금을 빌려주는 것이 역모지기론입니다. 역모기지론은 가입자(수령자)가 사망할 때까지가 가입기간이어서 통상 20~30년 하는 모기지론처럼 만기가 길기 때문에 우리말로 역모기지론을 장기주택저당대출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구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시행중인 이 제도는 우리나라에서 1995년부터 일부 민간은행에서 역모기지 상품이 도입됐으나 그동안 실적이 미미했습니다.

2004년 3월 주택금융공사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졌고 현재 주택금융공사에서 취급하는 역모기지 상품이 ‘주택연금’입니다.





 

◇주택연금 얼마나 가입했나?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2011년 상반기 주택연금 신규 가입건수는 1336건, 금액으로 1조83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849건, 1조3042억원에 비해 가입건수로는 57%, 금액 기준으로는 41% 증가한 것입니다.

주택연금 가입자 수는 지난 2007년 첫 선을 보인 이후 매년 크게 늘고 있습니다. 출시 첫해 가입건수 515건, 보증공급액 6026억원을 기록한 이후 ▲2008년 695건 8633억원 ▲2009년 1091건 1조7067억원 ▲2010년 2016건 3조361억원 등 매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왜 인기를 끌고 있나?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주택연금이 점차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보유중인 집 한 채를 맡기고 매달 일정액을 연금으로 받는 주택연금, 이른바 정부보증 역모기지론이 중장년층의 `노(老)테크`수단으로 정착돼가고 있는 모습이다.

치솟는 물가와 각종 교육비 등으로 등골이 휘어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노후 자금을 자식들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마련하겠다는 중장년층의 변화된 의식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또한 주택가격이 장기적으로 하락세에 접어들면서 주택연금 수령액이 계속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하루라도 빨리 연금에 가입하고 보자는 심리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택연금 어떻게 가입하는가?

 

 

◆주택연금(역모기지론) 누가 가입할 수 있나?

 

 

역(逆)모기지론으로 불리는 주택연금은 자신이 소유한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며, 가입대상은 부부 모두 만 60세 이상이어야 하고 신청일 현재 소유한 주택이 단 1채인 사람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9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은 대상에서 제외되고 공무원이나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사람들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주택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나?

 

 

가입자가 한달에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은 주택가격과 가입자의 연령 등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산정기준에는 집값이 매년 3.5%씩 오른다는 전제가 깔려 있는 만큼 지금과 같은 주택가격 하락기에는 가격이 더 떨어지기 전에 신청해야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사례>

경기도 김포시에 사는 Y씨(76세)는 어느 날 TV광고를 보고 눈이 번쩍 뜨였습니다. 공무원이나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사람도 매달 주택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TV광고를 보고 고민 끝에 주택연금에 가입했습니다. 한국감정원이 평가한 Y씨의 주택가격은 3억8200만원. 윤 할머니는 주택연금 중 2000만원을 현금을 미리 받아 외손자의 등록금으로 딸에게 건네주었습니다. 그리고 매달 140만원을 연금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대출금이나 전·월세 보증금이 있는 주택도 가능한가?

 

 

대출금이나 전·월세 보증금이 있는 주택도 수시입출금 제도를 활용해 일부 대출금 등을 갚고 연금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 용도로는 총액의 30%까지, 주택담보대출이나 임차보증금 상환 용도로는 총액의 50%까지 설정할 수 있고, 한도는 언제든지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택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

 

 

주택가격은 감정원의 인터넷시세로 결정합니다. 만약 시세가 정해져 있지 않는 주택이라면 국민은행의 인터넷시세를 이용하고, 이마저도 없으면 주택금융공사가 감정원에 정식으로 평가를 의뢰합니다.

 

 

 

◆주택연금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

 

일단 가입하면 연금은 가입자나 배우자가 사망할 때까지 지급되는데, 주택이 재건축 혹은 재개발돼 소유권을 잃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주택연금이 종료됩니다.

 

 

◇주택연금의 5가지 특징

 



 

① 대상이 되는 주택에 계속 살 수 있도록 하면서 매월 약속한 연금은 가입자가 사망할 때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주거와 고정소득이라는 노령층의 고민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입 당시 집값을 기준으로 연금지급액을 결정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집값하락에 따른 자산 감소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② 주택연금은 정부보증으로 지급중단의 위험이 없습니다.

 

③ 대출금리가 일반 주택담보대출보다 낮습니다. 주택연금은 변동금리를 적용하는데 3개월 CD금리에 가산금리 1.1%를 더해서 결정합니다.

 

④ 초기 역모기지론 설정에 드는 비용이 적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등록세,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국민주택채권 매입의무가 모두 면제돼 이용이 쉽습니다.

 

⑤ 역모기지론은 세제혜택이 있는데, 역모기지론을 설정한 집의 재산세는 25% 감면되고, 매년 내는 이자비용 중 200만원까지 소득공제혜택도 주어집니다.

 

◇주택연금의 위험요인 및 관리

 

 

우리나라의 자산관리 비중이 부동산에 편중(약80%)되어있기 때문에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주택연금의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주택연금이 계속 늘어나 가입자 수가 지금의 10배에 이르면 보증공급액은 60조원 이상으로 불어나게 된다. 만약 리스크 관리에 실패할 경우 결국

국가 전체의 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있지만 다행히 금리도 내려 손실률을 상쇄하고 있지만 주택연금보증기금의 재원확보와 부실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위험관리의 강화, 보증수수료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SBC비즈니스정보] 연금복권 판매점 창업 가능할까?

연금복권 판매점 창업 가능할까?

 

 

◇`연금복권 520` 인기 상종가


매달 연금식으로 당첨금을 지급하는 `연금복권 520`의 인기가 상종가를 치면서 복권 판매점에 예약번호까지 등장했습니다.

연금복권이 조기에 매진되면서 패키지 판매와 예약 판매가 생겨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금복권 520`이 무엇인가?

 





연금복권은 1장에 1000원으로 당첨금은 1등 12억원(매달 500만원씩 20년), 2등 1억원, 3등 1000만원, 4등 100만원, 5등 20만원, 6등 2000원, 7등 1000원을 지급합니다.

 

1등 당첨금 수령은 월분할지급만 가능하며 당첨자가 당첨금을 다 받기 전에 사망하면 상속도 가능합니다.

 

또한 3억원 이상 당첨금의 세율은 33%이지만 연금식 당첨금은 매월 500만원씩 나눠 받아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22%)이 적용되고, 1인당 최대 10만원까지 구매 가능하며, 만 19세 미만 청소년에겐 판매할 수 없습니다.

 

 

◇`연금복권 520` 왜 구하기 힘든가?

 

연금복권 520이 판매점에 배달되는 건 매주 화요일.

하지만 화요일 당일에 판매점에 방문하더라도 복권을 구입하긴 어렵습니다.

 

로또와 달리 매회 당 발행하는 복권이 630만매로 한정돼 있어 일선 판매점이 확보할 수 있는 복권 물량이 수백장 수준인데다 일부 고객들이 미리 예약을 걸어놓고 선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복권수를 늘릴 수는 없을까?

 

연금복권 520은 로또와 달리 당첨 번호 숫자가 한정돼 있는데다 발행을 늘리기 위해선 복권위원회에 이어 기획재정부, 국회 승인까지 이어져야 하므로

쉽지 않습니다.

 

 

◇연금복권 창업 가능한가?






 

연금복권도 기존의 로또복권처럼 복권방과 편의점.가판대등 전국의 복권판매소 15,000여개 점에서 판매가 됩니다.

온라인 인터넷으로도 판매가 이루어집니다.

 

즉, 새로운 복권제도가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기존의 복권상품들 중에 하나가

추가된 것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입니다.

 

기존의 복권방을 하고 계신 경우가 아니라면 신규로 복권방창업은 신규허가가 어렵기 때문에 어려울 것입니다.

그리고 대부분 편의점이나 가판대에서 복합점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금복권 하나만을 위하여 편의점을 창업한다면 리스크가 많이 존재 할 뿐 아니라

기존의 판매소와 경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이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로또를 판매하는 복권방이 아니면 연금복권 하나만을 신규로 허가를 내 주지는 않을 것이므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굳이 가능한 방법이라면 기존업소를 양도받거나 인수하시는 방법밖에는 없을 것입니다.

 


◀ PREV 1···144145146147148149150···186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