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C1인창조기업] 공정위 파워블로거 대책 발표


파워블로거, 대가 공개 안하면 광고주 제재

 

 

◇ 공정위 표시. 광고 심사지침 개정

 

공정거래위원회는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을 개정하는 등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파워블로거 등의 기만적 추천·보증 행위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했다.

 

파워블로거 등이 광고주로부터 경제적 대가(현금이나 당해제품 등)를 받고 추천·보증 등을 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상업적 표시·광고라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매 건별로 경제적 이해관계를 명확히 공개토록 했다. 최근 문제가 된 파워블로거 뿐만 아니라 인터넷 카페, 트위터, 페이스북 이용자 등과 같이 다수의 소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 모두 대상이 된다.

 

또한 추천·보증 등을 하면서 경제적 대가를 받은 사실을 공개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의 구매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을 은폐한 기만적인 표시·광고로 본다. 이러한 기만적인 표시·광고에 대한 책임 소재는 광고주에게 있으므로 광고주는 파워블로거 등을 통해 상품홍보를 할 경우 경제적 이해관계가 함께 공개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공정위가 제시한 추천글 공개문구 예시

 

◎ 파워블로거 A가 B사의 20만원짜리 살균세척기를 공동구매하기 위해 자신의 블로그에 추천 글을 게재하면서 B사로부터 수수료를 받기로 한 경우

 

⇒‘저는 B사로부터 해당제품의 공동구매를 주선한 대가로 일정수수료를 받기로 함’

 

◎ D회사가 대학생 C에게 회사가 새로 개발한 게임프로그램을 무료로 보내주고 C가 운영하는 게임동호회 카페에 홍보성 이용후기를 게재해 줄 것을 요청한 경우

 

⇒‘이 제품은 D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음’

 

◎ 저명인사 E가 G사로부터 일정금액을 받고 자신의 트위터에 G사 제품에 대한 홍보성 이용후기를 올린 경우

 

⇒‘저는 G사로부터 제품홍보 대가로 일정금액을 받음’

 

 

◇ 전자상거래법도 개정

 

최근 특히 문제가 된 파워블로거 등의 공동구매에 대해서는 전자상거래법도 개정하여 파워블로거 등이 공동구매를 추진하면서 금전 등을 수수한 사실을 은폐하는 것에 대해 금지행위 유형으로 추가됐다.

 

한편 주요 포탈업체, 광고주협회 등 관련 업계와의 간담회도 개최하여 이러한 소비자피해 예방대책이 빠른시일내 정착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경제적 대가를 받고 공개하지 않으면 광고주가 제재

 

이번 조치를 통해 사이버공간에서의 신뢰문화가 정착되고 이를 통해 소비자 피해 예방은 물론 나아가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파워블로거 등이 광고주로부터 현금이나 해당제품 등 경제적 대가를 받고 추천글 등을 게재할 경우 이를 공개하지 않으면 광고주가 제재를 받게 된다.

 

이와 관련, 공정위는 이날 한국광고주협회, 한국블로그산업협회, 광고대행사, 포털업체 등과 간담회를 갖고 협조를 요청했다.

 

 

[SBC비즈니스정보] 2012년 최저임금 시간급 4천580원, 월급 95만7천220원

주5일근무 최저임금 95만7천220원으로 인상

 

◇ 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은 고용자가 피고용인을 저임금으로 부리는 착취를 막기 위해, 국가에서 정한 노동자에게 지급해야 할 최소한의 임금을 말한다. 각 나라는 자국의 법과 규정에 의해 최저 임금을 정하고 있고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그렇지 못하다.

 

첫 최저임금제는 1894년 뉴질랜드 정부에 의해 시행되었고 미국이 1938년, 프랑스가 1950년, 영국이 1999년에 도입하였다. 대한민국 헌법 제 32조 1항은 노동자 적정임금의 보장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86년 12월 31일에 최저임금법을 제정하였고 198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다.

 

 



 

◇ 최저임금 도입배경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능력을 존속하고 가족을 지속적으로 부양함으로써 노동력을 재생산할 수 있는 수준의 임금이 생존임금이다. 그리고 생존임금에 더해 자식들의 교육과 최소한의 문화 수준을 누릴 수 있는 수준으로 상승한 임금은 생활임금이다.

 

노동시장에서 노동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된 임금이 노동자의 생활임금이나 생존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면 국가는 노동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보장해야 할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가 노동자들이 받는 임금의 최저 수준을 시장 균형임금 이상의 일정 수준으로 보장하기 위해 설정한 임금이 최저임금이다.

따라서 최저임금제도는 빈곤 퇴치와 소득 불평등의 완화에 기여하게 된다.

 

 

◇ 최저임금제도의 효시

 

법률제정최저임금제도의 효시는 1984년 뉴질랜드의 '산업조정 중재법(Industrial Conciliation and Arbitration Act)'이다. 미국은 1938년 '공정노동 기준법(Fair Labor Standards Act)'을 제정하면서 최저임금제도를 시행했다. 공정노동 기준법에서 그 제정 취지를 '남녀 노동자의 노동 노력에 합당한 임금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최저임금은 명목임금이므로 물가상승에 따라 실질임금은 하락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국 의회가 실질임금 수준으로 최저임금의 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공정노동 기준법'을 개정해 최저임금 수준을 인상한다.

 

 

 

◇ 연도별 최저임금 현황

 

 

 

연도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2006년

 

3,100원

-

-

-

 

2007년

 

3,480원

27,840원

(8시간)

-

786,480원

(44시간근무제)

2008년

3,770원

30,160원

(8시간)

150,800원

(주40시간)

165,880원

(주44시간)

852,020원

(226시간)

2009년

4,000원

32,000원

(8시간)

160,000원

(주40시간)

176,000원

(주44시간)

836,000원

(주40시간제)

904,000원

(주44시간제)

2010년

4,110원

32,880원

(8시간)

164,400원

(주40시간)

180,840원

(주44시간)

858,990원

(주40시간제)

928,860원

(주44시간제)

2011년

4,320원

34,560원

(8시간)

172,800원

(주40시간)

190,080원

(주44시간)

902,880원

(주40시간제)

976,320원

(주44시간제)

2012년

4,580원

36,640원

(8시간)

183,200원

(주40시간)

201,520원

(주44시간)

957,220

(주40시간제)

1,035,080

(주44시간제)



◇ 최저임금 적용대상은?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 등을 위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이다. 적용대상은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다.

 

 

◇ 최저임금 어떻게 결정하나?

 

최저임금은 노사공익대표 각 9명으로 구성된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매년 인상안을 의결하여 정부에 제출하면, 노동부 장관이 매년 8월 5일까지 결정 고시한다. 사용자는 매년 8월 31일까지 최저임금액,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임금의 범위, 적용제외 근로자의 범위, 효력발생일 등을 근로자들이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의 적당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최저임금액을 이유로 종전의 임금수준을 저하시켜서는 안 된다. 최저임금액에 미달하는 임금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한해 무효가 되고, 최저임금액과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기로 한 것으로 간주한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을 심의하고 의결하는 한국의 고용노동부 소속 기구로 1987년에 발족되었으며, 공익위원 9명, 근로자위원 9명, 사용자위원 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최저임금 위반 시 어떻게 구제받나?

 

근로자가 지급받는 임금이 매년 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최저임금액 이하로 결정되어 지급받는 경우에는 사업장 관할 지방노동관서 근로감독과에 신고하여 권리구제를 요청할 수 있다. 18세 미만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최저임금법 제5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시간급 최저임금액에서 100분의 10을 감한 금액을 당해 근로자의 시간급 최저임금액으로 한다.

 


[SBC금융투자정보] 위험은 낮고 수익은 높은 상품 나온다.

주식보다는 '위험이 낮고' 예금보다는 '높은 수익'




주식보다는 '위험이 낮고' 예금보다는 '높은 수익'을 주는 상품을 찾는 투자자들이 많다. 이를 위한 대안 상품으로 제시되어 온 것이 바로 헤지펀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96년 9월 금융기관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남아메리카와 동유럽 등 투자위험성이 비교적 높은 신흥시장에 집중 투자하는 헤지펀드가 최초로 생겼으나 진입장벽 및 운용상의 제약으로 헤지펀드가 활성화되지 못했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빠르면 2011년 가을 우리나라에서도 헤지펀드가 본격적으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헤지펀드란?


100명 미만의 투자가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자금을 모아 파트너십을 결성한 후에 자금을 운영하는 투자신탁이다. 뮤추얼펀드가 다수의 소액투자자를 대상으로 공개모집하는 펀드인데 반해, 헤지펀드는 소수의 고액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모 투자자본이다.

 

헤지펀드는 파생금융상품을 조합해서 신종상품을 개발하는데, 이것이 국제금융시장을 교란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지적되어 관심을 끌기도 했다.

현재 국제 금융시장에서 활동중인 헤지펀드는 3000여개로 추산되며 자산규모 200억달러가 넘는 퀀텀펀드나 타이거펀드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사진자료: 한국경제>

 

◇헤지펀드의 특징

 

① 차입을 통해 레버리지를 사용한다.

 

실제 펀드 자산보다 큰 금액을 투자하는 효과를 얻어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그만큼 손실 위험도 커지게 된다.

 

② 일반펀드에 비해 높은 운용 및 성과 보수를 받는다.

 

성과와 연동해 매니저의 보수가 결정되는 구조다. 일반적인 뮤추얼 펀드에 비해 규제가 상당히 완화된 점을 이용해 투자지역, 대상, 기간, 전략에 구애받지 않고 절대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한다.

 

③ 펀드매니저가 직접 자신의 펀드에 거액의 자금을 투자한다.

 

일반 펀드가 매니저 자금과 펀드 자금이 철저히 분리된 것에 비해 헤지펀드 매니저는 자신의 펀드에 거액의 자금을 직접 투자한다. 따라서 매니저들은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별적인 노력을 하는 경향이 강하다.

 

④ 헤지펀드는 파생상품이나 공매도(Short selling)를 사용한다.

 

파생상품으로 레버리지 효과를 일으키고 공매도를 통해 금융시장 하락 시에도 수익을 추구해 주식시장 흐름과의 상관관계를 낮춘다.

 

⑤ CDS(신용부도스와프)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헤지펀드는 신용부도스와프(CDS) 같은 다양한 리스크 내재 상품이나 복잡한 구조화 상품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투자 자산에 한계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모든 투자 수단을 사용한다.

 

 

◇한국형 헤지펀드 어떤 투자전략을 사용할까?

 

① '에쿼티 헤지 전략'

 

먼저 한국형 헤지펀드가 탄생한다면 가장 많이 쓰일 것으로 예상하는 '에쿼티 헤지 전략'이 있다.

 

에쿼티 헤지 전략은 기본적으로 시장에서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주식을 매도해 구성하는 포트폴리오 운용 전략이다.

 

② 'CTA전략과 매크로전략'

 

매니지드 퓨처스(CTA) 전략은 시스템을 이용해 방향성을 예상하는 전략이고, 글로벌 매크로 전략은 매니저의 판단에 의해 방향성을 예상하는 전략이다.

 

매니지드 퓨처스 전략은 글로벌 선물시장에서 시스템을 이용, 롱 또는 숏 포지션을 취해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이다. 상품(귀금속 비철금속 에너지 농산물) 또는 다양한 선물시장(통화 이자율 주식지수 채권지수 등)에 분산투자하는 특징이 있다. 유동성이 좋은 선물을 투자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환매가 용이하여 국내에 가장 널리 알려진 전략이다.

글로벌 매크로 전략은 매니저의 판단에 의해 경기 및 자산의 방향성을 예측해 이에 따라 국고채, 환율, 회사채, 귀금속, 상품 등에 투자해 수익을 추구한다.

 

③ '이벤트 드리븐 전략'

 

이는 분할 인수 합병 파산 등으로 인한 기업 개선, 자본 재조정, 자사주 매입 등 기업 내용에 미칠 영향이 큰 사건을 미리 예측해 투자하는 기법이다.

가장 일반적인 이벤트 드리븐 전략으로는 부실채권(distressed securities) 투자 및 기업합병 차익거래(merger arbitrage)가 있다.

 

④ '차익거래 전략'

 

이는 전환사채 차익거래와 채권 차익거래, 그리고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차익거래로 나눌 수 있다. 차익거래 전략은 시장에서의 가격이 실제 가격과 괴리가 있을 때 이를 이용해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환사채 차익거래는 전환사채 간의 가격 차이와 전환사채 가격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예상 추세를 동시에 이용하거나 또는 둘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전략이다.

 

 

◇어떻게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 있을까?

 

기존에는 국내 증권사를 통해 해외 헤지펀드를 편입한 사모 재간접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제 한국형 헤지펀드가 탄생되면 국내 투자자들도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탄생할 한국형 헤지펀드는 적격투자자와 5억 이상 개인투자자로 투자자가 제한될 예정이다. 일반투자자를 위한 사모 재간접 헤지펀드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2011년 3분기 중에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헤지펀드에 투자할 때 투자 위험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헤지펀드 판매사도 펀드에 대해 철저히 검증해야 하며 투자자도 펀드매니저의 투자 철학 및 전략, 운용 능력, 평판, 트랙 레코드 등에 대해 검증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고수익을 보겠다는 막연한 투자보다는 헤지펀드에 대한 이해를 통해 헤지펀드가 투기성 상품이 아니라 주식보다는 기대수익률이 낮을 수 있지만 채권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는 금융 상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료제공: 한국경제>


◀ PREV 1···141142143144145146147···186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