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C컨설팅자료] 면접시 거짓말 1위 연봉 액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면접시 거짓말 1위 “연봉 액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6명은 면접에서 지원자의 거짓말을 알아차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362명을 대상으로 ‘면접시 지원자의 거짓말 파악 여부’를 조사한 결과 64.4%가 ‘알아차린다’라고 답했다. 거짓말로 판단되는 말로는 “연봉 액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66.1%·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 거짓말로 판단되는 말
순위 |
거짓말 내용 |
응답율 |
1 |
연봉 액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
66.1% |
2 |
뽑아만 주신다면 무엇이든 하겠습니다 |
50.6% |
3 |
이직 없이 이 회사에 뼈를 묻겠습니다 |
46.8% |
4 |
야근·주말 근무도 상관 없습니다 |
40.3% |
5 |
저의 최우선순위는 회사입니다 |
29.2% |
6 |
회사의 비전이 제 이상적인 회사상입니다 |
21% |
7 |
긴장해서 능력의 반 밖에 못 보여드렸습니다 |
12.9% |
8 |
귀사를 목표로 했기에 떨어져도 재지원할겁니다 |
11.2% |
◇ 지원자 말을 거짓으로 판단한 이유
순위 |
이유 |
응답율 |
1 |
이미 많이 들어본 답변이라서 |
42.5% |
2 |
답변에 일관성이 없어서 |
36.1% |
3 |
제시하는 근거가 빈약해서 |
34.3% |
4 |
표정이나 태도가 불안해 보여서 |
27.5% |
5 |
말투나 목소리에 확신이 없어서 |
23.6% |
6 |
추가 질문에 답변을 하지 못해서 |
22.7% |
7 |
외워서 말하는 티가 나서 |
22.3% |
◇ 지원자 거짓말에 대한 대응 방법
순위 |
이유 |
응답율 |
1 |
지나치지만 않으면 그냥 넘어간다 |
47.6% |
2 |
추가 질문 등으로 진실을 밝혀낸다 |
27.5% |
3 |
감점이나 불이익을 준다 |
17.6% |
4 |
신경 쓰지 않는다 |
7.3% |
◇ 기업 측이 한 거짓말
순위 |
거짓말 내용 |
응답율 |
1 |
조만간 연락드리겠습니다 |
72.2% |
2 |
곧 다시 뵙겠습니다 |
19.4% |
3 |
이 정도 실력이면 다른 곳이 낫지 않나요? |
17.6% |
4 |
성별·연령 등의 차별이 전혀 없습니다 |
13.9% |
5 |
인상이 정말 좋습니다 |
13.0% |
6 |
뛰어난 실력을 갖추고 있군요 |
11.1% |
7 |
저희는 스펙을 전혀 보지 않습니다 |
11.1% |
8 |
저희는 가족 같은 분위기에서 일합니다 |
10.2% |
▣ 대기업 면접시 주의할 사항
◆외운듯한 자기소개는 금물입니다.
면접관은 미리 외우고 짜맞춘 답변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집에서 준비한 자기소개를 줄줄 외다가 면접관에게 제지당한 경우도 있습니다. 구직자는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하는 게 좋습니다. 면접 시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즉석에서 생각하며 차분히 말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면접을 암기가 아닌 면접관과의 대화로 풀어가야 합니다.
◆단답형 대답은 피해야합니다.
면접관은 지원자의 경험과 관련된 역량과 능력을 파악하고자 합니다. ‘가장 힘들었던 경험이 무엇입니까?’는 질문에 ‘대학입시 공부할 때 입니다’는 식으로 답하는 것은 반드시 삼가 해야 합니다.
답변에는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점, 이를 통해 배운 점, 입사 후 힘든 일이 생길 때 대처할 방안 등을 함께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면접관의 의도를 파악해 자신의 역량이 드러나도록 서술형으로 대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시간이 길어지면 역효과를 가져옵니다.
◆면접관의 비판에 감정적 대응을 하지 말아야합니다.
면점관은 의도적으로 압박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면접관의 공세에 밀려 대답을 얼버무리거나 실수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때 눈물을 보이거나 화를 내는 등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건 불합격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자신의 의견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되 실수를 지적 받은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며, 추후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처럼 여유 있게 대처해야 합니다.
◆토론면접에서 혼자 떠들어서는 안 됩니다.
팀워크를 보기 위해서 토론면접을 합니다. 아무리 주장이 조리 있다고 해도 혼자만 열심히 발언한 지원자는 뽑히기 어렵습니다. 조직에서는 얼마나 남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난 후에는 ‘좋은 의견 잘 들었습니다.’ 라는 호응의 멘트를 달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반대 입장의 지원자에게 인신공격성 발언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창업전략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C금융컨설팅] 신용카드 없이 스마트폰으로 결제한다. (0) | 2011.06.14 |
---|---|
[SBC부동산정보] 부동산 등기이전 나홀로 하기 (1) | 2011.06.13 |
[SBC법률컨설팅] 나홀로 상속등기절차 (0) | 2011.06.13 |
[SBC금융컨설팅] 재테크는 청약통장가입으로 시작 (0) | 2011.06.13 |
[SBC점포컨설팅] 수익형 상가투자 꼼꼼히 따져야한다 (0) | 201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