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C비즈니스정보] ‘청년창업 활성화방안’ 발표
‘청년창업 활성화방안’ 발표
◇ 청년창업예산 4,900억원으로 2,500억 증액
한나라당과 정부가 기존 예산을 2배나 늘린 '희망코리아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는 젊은 대학생들의 현실을 타개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융복합하는 창조경제를 통해 수출경제·내수경제의 한계를 보완하는 창업대책이다.
청년창업예산을 올해 2400억원에서 내년 4900억원으로 2500억원 증액하기로 했다. 대출과 보증을 지원할 경우 사업 실패시 창업자가 모든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 지분참여 등 정부의 직접투자 기반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한나라당과 정부가 청년창업을 파격지원하기로 합의한 배경에는 '강한 수출경제, 약한 내수경제'라는 한국경제의 구조적 특성을 보완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경제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신기술·창조경제의 영역을 확대 하겠다'는 의도가 자리 잡고 있다.
⃟ 실패부담 최소화에 초점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을 개인이 모두 떠안으면서 청년창업이 매년 줄어드는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지도 담겼다. 실제 벤처기업 최고경영자(CEO) 중 30대 비율은 2001년 50.2%에 달했지만 올 7월 현재 16.8%로, 20대는 6.0%에서 0.8%로 줄어들었다. 기업가정신이 위축되면서 창업보다는 취업을 선호하고, 상당수 대학생들이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는 현상이 반영된 수치다.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2008년 이후 7차례나 됐지만 제도적 개선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정책위원회는 7월 이후 4차례 실무당정협의와 국회의원·업계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여한 정책간담회를 거쳐 고위당정협의에서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에 최종 합의했다.
◇ 청년창업정책 기본방향
당정협의 기본 방향은 △선순환 창업생태계 조성 △기업가정신 고취를 위한 재정지원 대폭 확대 △창업단계별 제도개선 모색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올해 2400억원이던 청년창업 관련 예산은 창업·창직관련 예산 내년 증액분 4000억원 중 대부분인 2500억원을 추가해 총 49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 '엔젤투자 매칭펀드'제도 도입
예산증액분의 핵심사업은 창업리스크 분담이다. 대출·보증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지원방식은 사업 실패시 창업자가 모든 부담을 떠안아야 하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었다. 새로 도입되는 '엔젤투자 매칭펀드'는 정부지원 자금(700억원)을 개인투자자의 엔젤투자자금과 연계해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이다. 창업실패시 선별적으로 융자상환금의 일부를 조정할 수 있는 창업자금인 '채무조정형 창업자금' 500억원도 지원키로 했다.
여기에 민간 금융회사와 매칭해 자금과 컨설팅을 동시에 제공하는 '청년전용 창업자금' 800억원 등 창업자금 규모를 2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 창업생태계 구축
이와 함께 당정은 창업 준비단계 → 창업초기단계 → 성장기→ 창업후기 등 단계별로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창업의 심각한 걸림돌로 꼽히는 연대보증제도도 개선하기로 했다.
당정은 국정감사 이후인 2011년 10월 중 추가대책을 확정하고, 의원입법을 통해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창업전략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C연예인비즈니스] 강호동, 프랜차이즈 성공비결 (0) | 2011.09.14 |
---|---|
[SBC비즈니스모델] 영원한 1위는 없다 (0) | 2011.09.08 |
[SBC프랜차이즈정보] 편의점 2만개 시대 그 실상은? (0) | 2011.09.07 |
[SBC비즈니스모델] 신세계, 하남시에 수도권최대 복합쇼핑몰 (0) | 2011.09.06 |
[SBC비즈니스정보] 전·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및 사기사례 (0) | 201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