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C컨설팅자료] 물가폭등< 금리인상< 가계부채 직격탄

물가폭등< 금리인상< 가계부채 직격탄

물가 급등에 실질소득 2분기 연속 줄어

 





 

 

7월 물가 폭등설 현실화 되나

 

 

 

서울시 하반기부터 지하철 기본요금 100~200원 올리는 방안 검토

 

 

 

경기도와 인천시 4월에 올리려던 지하철과 시내버스 요금 하반기부터 10~15%가량 인상 검토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7월부터 상하수도 요금 인상 추진

 

 

 

지식경제부 전기요금 7월부터 올리기로 하고 인상폭

기획재정부와 논의

 

 

 

서울시 하반기부터 상수도 요금 최고 17% 인상방침 결정

 

 

전주시 7월부터 상수도 요금 18.36%, 가정용 하수도 요금 90.9% 인상 예고. 제주도, 대구, 경남 창원시ㆍ진주시 등 인상 검토

 

 

 

도시가스 요금 5월초 인상. 소매 요금 평균 4.8% 인상(4인 가구 기준 월 평균 1130원가량 더 부담) 전기료도 7월부터 연료비 연동제 적용 예정대로 인상

 

 

 

 

통계청 발표 1분기 가계 동향(2011.05.20.)

 

 

◇물가가 치솟으면서 가계고통 증가

 

1분기 소비자물가가 4.5% 상승

가계의 실질소득 0.9% 감소

2분기 연속 마이너스 흑자 규모도

2분기 째 감소

소비지출 명목상 4.3% 증가

실질 기준으로 0.7% 증가

소비량은 그대로였지만 지갑만 얇아진 셈

식품 구입비는 8.4% 증가

실질 지출 2.7% 감소

적자를 본 가구가 5년 만에 가장 많음

저소득층의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

 

 

◇흑자액 1.9% 줄어, 2분기 연속 감소

 

실질소득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1.2%로 5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올해 1분기에도 -0.9% 기록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국내총소득(GDI) 성장률이 27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과 비슷한 흐름

 

경상소득은 4.5% 늘었으나 사적이전소득(가족 간 용돈) 등으로 이뤄진 비경상소득은 14.0% 감소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값인 흑자액은 1분기에 월평균 68만2천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9% 감소, 흑자액은 지난해 4분기에도 2.5% 줄어 2분기 연속 감소

 

 

저축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율(흑자액/처분가능소득*100)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포인트 하락한 21.8%를 기록, 흑자율은 3분기 째 하락

 

 

 

◇물가상승. 가계부채, 가계지출에 직격탄

 

 

농산물 가격 급등에 따라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8.4% 증가, 실질 기준으로는 2.7% 감소

 

과일 및 과일 가공품, 채소 및 채소 가공품은 명목 기준으로 각각 8.6%, 17.4%의 높은 증가율, 실질 기준으로는 -17.8%, -0.8% 감소

 

통신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가운데 스마트폰 보급이 대중화하면서 통신장비 지출은 무려 40.1% 증가

 

 

유가 급등이 소비지출에 부정적 영향, 교통 지출이 11.5% 늘어나 3분기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항목별로 자동차 구입(29.7%), 운송기구연료비(10.2%)가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

 

전기료, 도시가스비 인상의 여파로 주거·수도·광열 지출이 3.9% 증가,

1분기 한파가 덮쳐 가전·가정용기기 지출이 늘어나는 바람에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도 8.5% 증가

 

운동 및 오락서비스(-4.9%) 서적(-4.6%) 단체여행비(-1.9%) 등 오락·문화 지출 증가율은 -0.3%로 8분기만에 처음으로 감소세, 식사비(-1.0%) 등 음식·숙박 지출(-0.6%)도 5분기만에 감소세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던 교육비 지출이 작년 4분기(-0.5%)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3.0% 줄어 두 분기 연속 감소

 

조세와 사회보험료 등을 포함한 비소비지출은 소비지출(4.3%)보다 높은 6.1% 증가율 기록, 고물가 때문에 가뜩이나 힘든 가계의 지출 부담 가중

 

소득세·자동차세 등 경상조세와 등록세, 상속세 등 비경상조세는 각각 전년 동기보다 12.5%, 35.8% 증가, 연금지출과 사회보험 지출은 5.6%, 8.7% 증가

 

 

 

 

개인부채가 작년 말 900조원을 돌파할 정도로 빠르게 늘어난 여파 때문에 가계의 이자 지출도 월 8만1천300원으로 11.7% 늘어나 두자릿수 증가

 

 

 

◇1분위계층 적자가구 비율 증가폭 가장 커

 

 

지난 1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적자가구 비율은 30.5%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9.1%보다 소폭 상승, 이 같은 적자가구 비율은 2006년 1분기(30.5%) 이후 최고치

 

지난 1분기의 분위별 적자가구 비율은 소득 최하위층인 1분위가 62%, 2분위 36.5%, 3분위 25.8%, 4분위 17.6%, 5분위 10.6%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적자가구 비율이 감소한 계층은 4분위와 5분위뿐이었다.

4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지난해 1분기보다 0.2%포인트 줄었고, 5분위는 0.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소득 최하위층인 1분위는 3.5%포인트가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으며, 2분위는 2.0%포인트, 3분위 2.4%포인트 늘었다.

 

 

소득분배를 나타내는 지표인 균등화 가처분소득 5분위 배율은 5.66으로 지난해 1분기 5.82에 비해 낮아져 불평등도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06년 5.52배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 1분기 가계소득은 5분위별로 비슷하게 증가했지만, 소비지출 증가율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는 소득이 2.4% 늘었고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계층은 2.1% 증가했다.

 

 

소비지출은 1분위(6.8%)와 2분위(11.2%)의 증가 폭이 3~5분위의 증가 폭(0.6~4.3%)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1·2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9.9%, 11.6%), 가정·가사(34.8%, 38.7%) 등을 중심으로 지출이 늘었으나 3분위는 보건(18.6%), 4분위는 의류·신발(12.8%), 5분위는 교통(12.2%) 등을 중심으로 지출이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로 1분위가 0.3% 증가했으며 5분위는 1.5% 늘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인 평균소비성향은 1분위가 143.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포인트 상승했지만, 5분위는 61.0%로 0.6%포인트 하락했다.

 

1분위를 뺀 나머지 계층의 가계는 모두 흑자를 기록했으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흑자액도 커졌다. 흑자액은 1분위가 -38만원, 2분위 2만7천원, 3분위 43만6천원, 4분위 87만6천원, 5분위 244만8천원이다.

 

 

◇4월 들어 물가 다시 상승세

한국소비자원의 `4월 가격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생필품 가격정보시스템(price.tgate.or.kr)에 수집된 생필품 80종 가운데 3월보다 가격이 올라간 품목 수가 전체의 58.8%에 달하는 47종이었다.

 

소비자원은 "3월에는 가격 인상 품목보다 인하 품목 비중이 높아 물가 상승세가 약간 꺾인듯하다가 4월 다시 인상 품목이 절반을 넘었다"며 "이는 섬유유연제, 햄, 소시지, 설탕, 밀가루 등의 가격 인상이 줄을 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생필품 80종 중 가격이 인상된 품목은 1월 53종, 2월 49종, 3월 36종, 4월 47종이었다.

 

이달 들어서는 둘째 주(5월13일) 생필품 101개 품목의 판매가격 평균이 2주 전(4월29일)과 비교해 42개품목은 가격이 올랐고 54개는 내렸다.